전체 글에 해당하는 글 67

화성학기초 코드 3화음

음악|2019. 9. 29. 12:10

이제 본격적으로 코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수백 년 서양음악 역사 속에서 정형화된 코드의 기본적인 형태는 모두 음들이 3도씩 쌓여 있는 형태이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인 3개의 음으로 만들어진 코드를 3화음이라고 한다.

 

코드는 3도씩 쌓아 올려져 만들어진다. 도 위에 C장조 음계의 음을 3도씩 쌓아 올린것으로서 도를 밑음, 미를 3도음...라를 13도음 이라고 부른다. 5도음까지의 3음으로 구성되는 코드를 3화음(Triad), 7도음까지의 4음으로 구성되는 코드를 4화음, 9도음,11도음,13도음의 세음을 텐션 노트(Tension Note)라고 한다.

 

3화음(Triad)

각 음 사이의 간격은 3도이고, 맨 아래 음과 맨 위 음 사이의 간격은 5도이다. 화성학에서 쓰는 모든 숫자는 음정과 관계가 있다고 했다. 맨 아래 음은 근음이라고 불린다. 이때 근음이라는 용어는 항상 코드의 근음을 부르는 말이다. 스케일에서는 첫음을 근음이라고 하지 않고 Tonic이라고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3화음(Triad)의 종류

4가지의 기본형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의 이름은 아래와 같다.

장화음(Major Triad)

단화음(Minor Triad)

감화음(Diminished Triad)

증화음(Augmented Triad)

 

두 화음 모두 5음이 완전5도인 장화음과 단화음은 근음과 3음의 음정으로 구분하고 감화음과 증화음은 근음과 5음의 음정으로 구분한다. 완전화음이라는 이름이 없는 이유는 장화음과 단화음의 5도가 모두 근음과 완전5도를 이루고 있어서 완전 이라는 이름에 분별력이 없어서다.

 

각각 더 자세히 알아보자.

장화음(Major Triad),

근음과 장3도를 이루는 3음과 완전5도를 이루는 5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 두음은 장3도가 되고 위 두음은 단3도가 된다. 화음의 표기는 근음의 알파벳만으로 하거나 알파벳에 maj 또는 ma를 붙인다.

 

단화음(Minor Triad)

근음과 단3도를 이루는 3음과 완전5도를 이루는 5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화음과는 반대로, 아래 두음은 단3도가 되고, 위 두음은 장3도가 된다. 화음의 표기는 근음의 알파벳에 mi, m,  -, min 등을 붙인다.

 

감화음(Diminished Triad)

근음과 단3도를 이루는 3음과 감5도를 이루는 5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 두음, 위 두음 모두 단3도가 된다. 화음의 표기는 근음의 알파벳에 dim를 붙인다.

 

증화음(Augmented Triad)

근음과 장3도를 이루는 3음과 증5도를 이루는 5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 두음, 위 두음 모두 장3도가 된다. 화음의 표기법은 근음의 알파벳에 ang나 +를 붙인다.

Diatonic Triads

Diatonic이라는 용어는 다른 음의 추가 없이 스케일의 구성 음으로만 이로우진 멜로디,하모닉시스템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C Major의 Diatonic은 C Major 스케일의 음으로만 만들어진 멜로디나 코드를 말한다. 모든 Major 스케일은 그 음렬이 같은 음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C Major 스케일에서 만들어지는 코드를 살펴봄으로서 모든 Major 스케일의 공통적인 Diatonic Hamony의 구조를 알 수 있다.

 

Suspended 4th Chord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또 하나의  Traid는 Suspended 4th 코드이다. 줄여서는 sus4코드라고 하고 표기할 때도 코드 알파벳 뒤에 줄인 것을 붙인다. 이 화음은 모든 음들을 3도씩 쌓아서 만든 기본 형태는 아니지만 가운데 음으로 3음 대신 4음이 쓰였다는 의미로 보면 된다.

 

Seventh Chord(7화음)

Triad의 위에 3도 간격으로 한 음을 더 쌓으면 4음으로 이루어진 코드가 된다. 이 코드의 맨 위 음이 근음에서 7도 위에 있기 때문에 Seventh 코드(7화음)라고 부른다.

코드가 종류가 많고 어려워 보여서 한번에 머릿속에 집어넣으려고 하면 힘들지만, 3화음부터 차근차근 이해해 나가면 충분히 익힐 수가 있다. 다음 포스팅은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7th Chord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댓글()